맥을 처음 구매해서 사용해보는데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au와 vst 이렇게 2개가 나옵니다.
2개 중에 어떠한 형식을 사용하는 게 나을까요? 불편해서 2개중 하나는 삭제하려고 하는 데 괜찮을까요?
사용 시퀀서는 스원5입니다.
댓글 1
-
2022.07.28 19:06 이 댓글을
저는 VST3 = AU > VST2 와 같이 선호합니다. VST2만 최대한 피해요 (무음 CPU 소모)
몇년째 플러그인 정리하면서 쓰고 있는데요.. 다른 유형 플러그인 삭제하면 플러그인이나 스탠드얼론이 작동안하는 경우가 아주 정말 가끔있긴 한데.. 테스트 해보시고
필요하면 다시 설치하시면 됩니다.
플러그인 폴더
- /Library/Audio/Plug-Ins
- /Users/[사용자명]/Library/Audio/Plug-Ins
VST(2)
- 무음구간에도 CPU 사용율을 차지함
AU
- Final Cut Pro 에서도 플러그인을 불러올 수 있음
- 플러그인-DAW 연동 기능 (트랙번호/이름 가져오기 등)
- 플러그인 폴더 정리 안됨 (하위 폴더를 만들어 .component 파일을 옮기면 인식 안됨)
- AU가 없는 윈도우 환경과 프로젝트 파일 공유시 플러그인 호환 안됨
VST3
- ARA 연동 (Melodyne, VocAlign, Revoice Pro 등)
- 플러그인-DAW 연동 기능 (트랙번호/이름 가져오기 등)
저는 VST3 = AU > VST2 와 같이 선호합니다. VST2만 최대한 피해요 (무음 CPU 소모)
몇년째 플러그인 정리하면서 쓰고 있는데요.. 다른 유형 플러그인 삭제하면 플러그인이나 스탠드얼론이 작동안하는 경우가 아주 정말 가끔있긴 한데.. 테스트 해보시고
필요하면 다시 설치하시면 됩니다.
플러그인 폴더
- /Library/Audio/Plug-Ins
- /Users/[사용자명]/Library/Audio/Plug-Ins
VST(2)
- 무음구간에도 CPU 사용율을 차지함
AU
- Final Cut Pro 에서도 플러그인을 불러올 수 있음
- 플러그인-DAW 연동 기능 (트랙번호/이름 가져오기 등)
- 플러그인 폴더 정리 안됨 (하위 폴더를 만들어 .component 파일을 옮기면 인식 안됨)
- AU가 없는 윈도우 환경과 프로젝트 파일 공유시 플러그인 호환 안됨
VST3
- ARA 연동 (Melodyne, VocAlign, Revoice Pro 등)
- 플러그인-DAW 연동 기능 (트랙번호/이름 가져오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