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툴엔 센드에 FMP 버튼을 통해 트랙의 패닝과 센드이펙트의 패닝을 일치시키는게 있고
로직엔 기본적으로 post pan send 개념이 적용되어있는데요.
스튜디오원에선 일일이 트랙과 센드이펙트의 패닝을 수동으로 똑같이 맞춰줘야하나요?
댓글 4
-
2019.11.30 20:14 이 댓글을작년에 1년 조금 넘게 Studio One을 사용했었고 최근에 다시 Studio One 4.5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Studio One은 Link Send Pan 또는 Follow Send Pan라고 불리는 기능이 없는 거로 알고 있고요.. 말씀하신 것처럼 Send 보내는 레벨 조절하는 곳 밑의 Pan 부분을 수동으로 따로 조작해야 하는데.. 번거롭습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Track의 Output을 중간에 다른 bus트랙로 보내고, 그 bus트랙에서 Send를 보내는 방법(대신 트랙이 늘어남)이나, 아예 이펙터 플러그인으로 Insert단에서 패닝을 조절하는 방법(대신 Mix뷰에서 Pan 상황을 못 봄)을 쓰면 비슷하게 할 수는 있어요..
관련 기능 요청도 있는데.. 투표라도... ㅠㅠ.. 몇일뒤에 4.6 나오는 걸로 알고있는데.. 생길런지... ㅠ
https://answers.presonus.com/10722/link-send-pan-with-channel-pan
https://answers.presonus.com/10933/add-this-option-for-the-sends-pan-follows-the-channel-pan
https://answers.presonus.com/17133/follow-main-pan -
2019.11.30 20:27 이 댓글을답변 감사합니다. 저같은 경우에 파이프라인이 너무 편해보여서 일단 스원 쪽으로 고민중이긴합니다만, 패닝 링크 기능이 없는게 꽤 크게 다가오네요.
제 질문과는 좀 별개지만, 하나 여쭙고 싶은게 있습니다. 믹스를 하실때 백그라운드 보컬같은 경우 스택이 굉장히 많이 쌓여있을 수 있는데,
그런 경우 한 리버브 채널을 만들어 백그라운드 보컬에 센드레벨을 줘서 리버브 양을 조절하게 되잖아요? 근데 이제 스택같은 경우 대체로는 L/R 양쪽으로 하드패닝을 시킬텐데...
그런 경우 프로툴은 FMP를 이용하면 L에서 나오는 시그널은 L에서 리버브가 나오고, R에서 나오는 보컬 시그널은 R에서 리버브가 나오겠죠?
근데 스튜디오원은 하나의 리버브채널 자체의 패닝밖에 못하니... 그런 경우 백그라운드 보컬의 리버브가 다 가운데에서 나오게 되는 것인가요?
조금 두서없는 질문인데, 혹시 답변해주실 수 있으시면 너무 큰 도움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추가로, 프로툴엔 pipeline 처럼 바로 하드웨어 딜레이보정해주는 기능은 없는지요?
DAW 고르기 참 어렵네요 ㅠ -
2019.11.30 21:18 이 댓글을제가 올해 초에 Studio One -> Pro Tools로 갔다가 다시 Studio One으로 갈려고 생각중인 케이스입니다
써보면서 비교 중인데.. Pro Tools는 샌드 패닝 링크나 하드패닝, 라우팅, 클립 게인 라인 같은 기능이 확실히 편하고.. 미디 오토메이션 편집할 때 새로 그려야 될 방식이라 좀 불편했어요.. Studio One으로 갈려고 생각 중인 건 ARA2와 Softube Console 1과의 연동, Mix FX(Tape Multitrack) 때문이고요..
일단, Studio One이 트랙마다 Send 보낼 때 FMP는 안되더라도.. Send패닝 수동조작은 가능하니 가운데는 아니게 할 수 있고요
하드패닝은 입력된 L과 R 신호를 뒤집는 것을 비롯해 개별적으로 패닝할 수 있는 거고.. 단순 배치 문제는 소프트패닝도 가능해요..
DAW마다 다르게 만들 수도 있지만, 보통은..
- 소프트패닝의 Center은 하드패닝에서 L->L, R->R로 보내는 것
- 소프트패닝의 L은 하드패닝에서 L->L, R->L로 보내는 것
- 소프트패닝의 R은 하드패닝에서 L->R, R->R로 보내는 것
으로 생각하시면 돼요..제가 올해 초에 Studio One -> Pro Tools로 갔다가 다시 Studio One으로 갈려고 생각중인 케이스입니다
써보면서 비교 중인데.. Pro Tools는 샌드 패닝 링크나 하드패닝, 라우팅, 클립 게인 라인 같은 기능이 확실히 편하고.. 미디 오토메이션 편집할 때 새로 그려야 될 방식이라 좀 불편했어요.. Studio One으로 갈려고 생각 중인 건 ARA2와 Softube Console 1과의 연동, Mix FX(Tape Multitrack) 때문이고요..
일단, Studio One이 트랙마다 Send 보낼 때 FMP는 안되더라도.. Send패닝 수동조작은 가능하니 가운데는 아니게 할 수 있고요
하드패닝은 입력된 L과 R 신호를 뒤집는 것을 비롯해 개별적으로 패닝할 수 있는 거고.. 단순 배치 문제는 소프트패닝도 가능해요..
DAW마다 다르게 만들 수도 있지만, 보통은..
- 소프트패닝의 Center은 하드패닝에서 L->L, R->R로 보내는 것
- 소프트패닝의 L은 하드패닝에서 L->L, R->L로 보내는 것
- 소프트패닝의 R은 하드패닝에서 L->R, R->R로 보내는 것
으로 생각하시면 돼요.. -
2019.11.30 22:15 이 댓글을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저도 ARA2 가 참 매력적이더라구요... 프로툴이 ARA만 지원해주면 계속 쓰겠는데 ㅎㅎ...
생각해보니 보컬 화음 스택들도 L은 따로 구분지어서 L패닝 리버브로 보내고, R은 따로 구분지어서 R패닝 리버브로 보내고 이렇게 리버브 두개 쓰면 얼추 스원에서 FMP 화음 스택 느낌 낼 수 있긴하겠네요.
혹시 프로툴엔 스튜디오원의 파이프라인같은 하드웨어 딜레이 보정 기능은 없나요?
Studio One은 Link Send Pan 또는 Follow Send Pan라고 불리는 기능이 없는 거로 알고 있고요.. 말씀하신 것처럼 Send 보내는 레벨 조절하는 곳 밑의 Pan 부분을 수동으로 따로 조작해야 하는데.. 번거롭습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Track의 Output을 중간에 다른 bus트랙로 보내고, 그 bus트랙에서 Send를 보내는 방법(대신 트랙이 늘어남)이나, 아예 이펙터 플러그인으로 Insert단에서 패닝을 조절하는 방법(대신 Mix뷰에서 Pan 상황을 못 봄)을 쓰면 비슷하게 할 수는 있어요..
관련 기능 요청도 있는데.. 투표라도... ㅠㅠ.. 몇일뒤에 4.6 나오는 걸로 알고있는데.. 생길런지... ㅠ
https://answers.presonus.com/10722/link-send-pan-with-channel-pan
https://answers.presonus.com/10933/add-this-option-for-the-sends-pan-follows-the-channel-pan
https://answers.presonus.com/17133/follow-main-pan